국가/지역 검색
대륙선택동남아시아
국가/지역선택미얀마연방공화국
미얀마연방공화국
The Republic of the Union of Myanmar
수도 : 네피도(Nay Pyi Taw, 행정수도, 인구 : 112.9만 명, 2024년 기준, 미얀마 인구부)
면적 : 67만6600㎢(한반도의 3.1배, 2023년 기준, CIA)
지도로 보기
기본정보 일반사항 국명 : 미얀마연방공화국 (The Republic of the Union of Myanmar) 수도 : 네피도(Nay Pyi Taw, 행정수도, 인구 : 112.9만 명, 2024년 기준, 미얀마 인구부) 인구 : 5451만명 (2024.10월 기준, IMF) 면적 : 67만 6600㎢ (한반도의 3.1배, 2023년 기준, CIA) 언어 : 미얀마어(공용어), 기타 소수어 종교 : 불교(88%), 기독교(6%), 이슬람(4%) 등 민족 : 버마족(70%), 소수족(25%, 샨, 카렌, 카친 등), 기타(5%, 중국계, 인도계 등) 기후 : 열대몬순 - 시차 : 한국시간-2.5시간정치현황 정부형태 : 대통령 중심제 ※ 미얀마 군부, 국가비상사태 선포(`21.2.1.) 후 `20.11월 총선 결과(당시 집권여당인 민주주의민족동맹(NLD)이 득표율 83%로 압승) 무효 선언(`21.7.26.), 임시정부 설립 발표 및 민아웅흘라잉 군총사령관을 총리(신설)로 임명(`21.8.2.) 주요인사 : ※ `15.11월 총선 결과 (`16.2-3월 구성)대통령 : 윈 민 (Win Myint) 국가고문 겸 외교장관 : 아웅산 수찌 (Aung San Suu Kyi) 상원의장 : 만 윈 카잉 딴 (Mahn Win Khaing Than) 하원의장 : 티 쿤 먓 (T Khun Myatt) 경제현황 GDP : 642억 8000만$ (2024.10월 기준, IMF) 1인당GDP : 1179.4$ (2024.10월 기준, IMF) 경제성장률 : 1% (2024.10월 기준, IMF) 화폐단위 : 짜트(MMK) 교역 : 교역 : 279.5억 불(2024년 기준, IMF)수출액 : 153억 8000만$ 수입액 : 125억 7000만$ 물가상승률 : 22% (2024.10월 기준, IMF) 실업률 : 2.9% (2023년 기준, Worldbank) - 환율 : 1미불 = 2,100짜트(2024.1.-3.월까지 평균 기준, IMF)우리나라와의 관계 외교관계1961.07.10. 수교일(영사급) 1975.05.16. 수교일(대사급) 공관현황 : * 상주 대사관 - 강금구 대리대사(2022.1. 부임) - 딴 신(Thant Sin) 대사(2019.3. 부임) 투자현황 : * (신규법인 신고기준) - 대 미얀마 : 76.3억 불, 1,355건 (2024년까지 누계기준, 한국수출입은행) - 대 한국 : 5.3백만 불, 54건 (2024년까지 누계기준, 산업통상자원부) 교역 : 교역 : 8.9억 달러(2024년 기준, 한국무역협회)수출액 : 3억 3000만$ 수입액 : 5억 6000만$ 교민현황 : - 미얀마 내 한국인 : 1,516명(2023년 기준, 재외동포청) - 한국 내 미얀마인 : 53,914명(2024년 기준, 법무부) ODA현황 : 6.7억 불(1987-2023년 누계, 총지출기준, OECD) - 무상원조 : 3.3억 불(2023년 당해연도 710만 불) - 유상원조 : 3.4억 불(2023년 당해연도 3,025만 불) * 인적교류 현황 - 한국→미얀마 : 23,213명(2024년 기준, 미얀마호텔관광부) - 미얀마→한국 : 76,334명(2024년 기준, 한국관광공사)주요인사 교류현황 방한2012.10. Thein Sein 대통령 국빈 방한 2013.01. Aung San Suu Kyi 여사 2013.04. Shwe Mann 하원의장 2014.12. Thein Sein 대통령(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2015.04. Khin Aung Myint 상원의장 2016.10. Win Myint 하원의장 2017.11. Win Khaing Than 상원의장 2019.11. Aung San Suu Kyi 국가고문 겸 외교장관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2020.02. Henry Van Thio 제2부통령 방문2012.05. 이명박 대통령 2013.01. 강창희 국회의장 2014.11. 박근혜 대통령(아세안 관련 정상회의) 2015.01. 정의화 국회의장 2017.08. 정세균 국회의장 2019.09. 문재인 대통령 국빈 방문 북한과의 관계 수교현황 : 1975.05. 수교 1983.11. 아웅산 사건으로 단교 2007.04. 복교 공관현황 : 2007.10. 주미얀마 북한대사관 재설치